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

용산, 어떤게 있을까요? 용산은 어디인가요? 용산은 서울특별시에 있는 지역으로 용산구를 보면 서울역에서 한강대교에 이르는 한강로가 중앙을 가로지르고 있으며 한강로 주변은 상업지구와 업무지구를 형성한다고 합니다. 삼각지에서 한남동에 이르는 한남로를 따라서 있는 이태원동에는 미군과 외국인을 상대로 한 상가가 형성되어 독특한 경관을 보인다고 합니다. 용산구에는 대표적인 지하철역인 용산역, 삼각지역, 한강진역, 이태원역, 효창공원 앞역, 삼각지역이 있습니다. 용산역은 경부선, 경원선 등 철도의 교차지로서 철도교통의 중심지이며 철도관계시설과 관사가 모여 있습니다. 용산역에서 KTX, 무궁화호, 춘천으로 가는 경춘선 ITX-청춘 열차와 같은 철도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철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용산역 지하철은 사진에서 보이는 .. 2023. 1. 28.
월드컵공원, 5개의 공원도 가고 캠핑도 해요 월드컵공원이란? 월드컵공원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 2002 FIFA 월드컵 한국 vs 일본을 기념하여 조성된 공원입니다. 이곳은 서울의 대표적인 공원 중에 하나입니다. 이곳의 역사는 1978년부터 1993년까지 한강변의 쓰레기 매립장이었던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이 폐쇄된 자리와 그 주변에 조성하였으며, 평화의 공원, 하늘공원, 노을공원, 난지천공원, 난지한강공원등 5개의 공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글쓴이는 어렸을 적에 쓰레기로 만든 산이 있다고 부모님께서 데려가 주셨는데, 그곳이 이곳이며 신기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은 범람원 지역인 난지도를 사용해 15년간 생활쓰레기 전량과 산업쓰레기의 일부를 매립했던 곳입니다. 비위생 단순매립방식으로 생활쓰레기, 건설 폐자재, 하수슬러지, 산업.. 2023. 1. 27.
영등포역, 약속장소로 정한다면 이렇게 가세요 영등포역의 역사 영등포역은 1899년 9월에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습니다. 1936년에 이르러 경인선에서 경부선으로 편입되었습니다. 예전에 있었던 노량진역 임시역사와 시설물들이 주민들의 요구에 의해 영등포역으로 탄생하게 되면서 노량진역사의 흔적이 영등포역이 된 묘한 역사가 생긴 것입니다. 영등포역은 바로 옆에 영등포구청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국전쟁의 발발로 1950년 역사가 파괴되어 1965년에 다시 지어졌고, 1990년 7월 21일 대한민국 최초로 철도역의 현대화를 위해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설립되는 민자 역사로 준공되었습니다. 영등포역은 1965년 다시 세워진 이래로 왼쪽에 있는 건물이 수도권 전철 전용 역사였고 오른쪽에 있는 건물이 일반열차 전용 역사로 나뉘어있었습니다. 또한 영.. 2023. 1. 27.
혜화역, 서울대학교병원과 대학로거리 그리고 창경궁 혜화역에 있는 서울대학교병원 혜화역에는 혜화라는 지명보다는 대학로라 불리고 사람들 사이에서 유명한 곳입니다. 이 때문에 지역 사회에서는 지속적으로 '혜화역'을 '대학로역'으로 바꿔달라는 역명 변경신청을 넣고 있다고는 하지만 '혜화역'이라는 역이름으로 계속해서 전해지고 있습니다. 대학로라는 이름은 서울대학교 본부와 인문대, 사회과학대, 자연대의 전신인 문리대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기 전에 이곳에 위치해서 붙여졌으며, 현재는 의대, 치대, 간호대가 있는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가 혜화역 인근에 있습니다. 이외에도 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과학캠퍼스)와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부가 이 역 인근에 있습니다. 이렇게 한국의 대학교가 한 곳에 많이 몰려있어서 대학로라고 불리는 거 같습니다. 여기 혜화역 .. 2023. 1. 26.